대표전화

02-6215-0123

퇴행성관절염이란?

Degenerative arthritis

퇴행성관절염은 연골이 반복적인 자극과 노화로 인해 손상되면서 염증과 통증을 유발하고,
결국 움직임에 제한을 가져오는 질환입니다.
다양한 요인으로 연골에 지속적인 자극이 가해지면서 관절을 보호하는 능력이 크게 감소하게 됩니다.

  • 정상적인 모습

  • 환자의 모습

퇴행성관절염의 원인

다음과 같은 요인들이 관련 있을 수 있습니다.
퇴행성관절염 증상이 있는 남성사진
  • 나이

    50대 이상에서 급증하며 특히 여성은 폐경기 이후
    호르몬 변화로 발병률이 증가합니다.
    젊은 연령층(20~30대)에서도 스포츠 손상, 비만, 외상
    등으로 인해 조기 발생 가능합니다.

  • 노화

    나이가 들수록 관절 연골이 점차 닳아 없어집니다.

  • 반복적 관절 사용

    직업적 활동, 운동 등으로 특정 관절이 반복적으로 자극 받고 무릎을 자주 구부리는 습관이나 쪼그려 앉는 자세, 계단을 반복해서 오르내리는 행동들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관절 부상 이력

    과거에 무릎을 다쳤거나 반월연골판이나 인대에 손상이 있었던 경험이 있다면 퇴행성 변화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주요증상과 진단증상

3개 이상 시, 퇴행성관절염 질환이 의심되며, 5개 이상 해당된다면 반드시 병원에 내원하여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 무릎에서 ‘뚝뚝’ 또는 ‘사각사각’ 하는 소리가 난다.
  • 계단을 오르거나 쪼그려 앉기, 무거운 물건을 들 때 통증이 있다.
  • 양발을 모으고 서 있으면 무릎이 안쪽으로 붙지 않는다.
  • 날씨가 춥거나 습도가 높을 때 팔다리가 쑤신다.
  • 아침에 일어나면 관절이 뻣뻣하지만 조금 지나면 괜찮아진다.
  • 무릎이 딱딱하게 붓고 운동 시 삐걱하는 소리가 난다.
  • 일어서려고 하면 무릎이 아프다.
  • 걷고 난 후에 생긴 통증이 2~3일 이상 지속된다.

정확한 진단을 위한 검사

연세천용민정형외과에서는 무릎통증의 정확한 진단을 위한 체계적인 검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 진료 정확한 진단을 위한
    증상과 진찰소견
  • X-ray 검사 뼈 사이 관절
    간격을 파악
  • 혈액 검사 염증 수치나
    특정 항체 확인
  • MRI 검사 연골 및 연골판의
    손상 정도 파악
  • 초음파 검사 관절 주위의
    연조직 상태 확인

환자 한 분 한 분에게 최선을 다합니다.

Yonsei Chun Yongmin Orthopaedic Surgery

치료방법 및 치료법

퇴행성관절염의 치료는 증상의 정도와 원인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 사용됩니다.
  • 1기

    연골 손상이 경미한 상태(초기)

    휴식, 약물치료, 도수·재활운동, 물리치료, 연골주사 등

  • 2~3기

    관절 간격이 맞붙은 상태(말기)

    인공관절 부분 치환술, 인공관절 치환술

  • 4기

    체외충격파치료

    충격파를 이용해
    칼슘 침착물을 분해하고 염증을 줄입니다.

  • 인공관절 수술 전후